잡학공부27 [임도공학3] 임도공학에서 지형지수, 삼림기능별 임도밀도, 임도간격/집재거리/평균집재거리의 관계, 적정 지선임도밀도, 선형 설계의 기본적인 고려사항/제약요소, 생태통로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● 지형지수 : 산림의 지형조건(험준함, 복잡함)을 객관적으로 표시한 지수로 임지경사, 기복량, 곡밀도의 3가지 지형요소로부터 구할 수 있다.(대상면적 500~1,000ha) * 산사태 위험등급(1~5등급) : 1 매우 높음 / 2 높음 / 3 낮음 / 4 매우 낮음 / 5 없음 * 곡밀도[谷密度, drainage density, valley density] : 하천수의 침식에 의한 지형의 개석(하천의 침식작용으로 평지에 골짜기가 파이는 현상)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그 대소는 기복량이나 지형의 경사와 관계가 깊다. 하계.. 2024. 3. 24. [임도공학2] 임도공학에서 임도 시설이 불가능한 지경, 임도밀도, Matthews 이론, 토질/지질에 대한 조사, 흙의 특성 / 연경도 흐름, 산악임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● 임도 시설이 불가능한 지역 - 산지전용제한지역이 포함된 경우 - 임도 거리의 10% 이상이 경사 35 〫이상의 급경사지를 지나게 되는 경우 * 다만 절취한 토석을 급경사지 구간 밖으로 운반하여 처리할 경우 설치 가능 - 임도 거리의 10% 이상이 도로법에 의한 도로로부터 300m 이내인 지역을 지나는 경우 * 다만 절토, 성토 면의 전 면적을 경관 유지를 위해 녹화공법을 적용 시 설치 가능 - 임도 거리의 20% 이상이 화강암질 풍화토(마사토)로 구성된 지역을 지나는 경우 * 다만 무너짐, 땅밀림 방지를 위해 보강공법을 적용 시 설치 가능 -.. 2024. 3. 23. [임도공학1] 임도공학에서 임도 가눙/이용도에 따른 구분, 대상지의 선정기준, 계획시 고려사항, 선정기준, 설치기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● 임도 기능에 따른 구분 [제1장. 산지 개발만 계획] * 임도의 위계 : 간선 -> 지선 -> 작업임도 - 간선임도(공도 적 기능. 이동 기능) : 도로와 도로를 연결 산림지역을 순환하여 산림의 보호 및 경영관리 상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공 도적이 성격의 임도. 이용 구역의 근간이 됨(연결임도, 도달임도). * 설계속도 40~20km/h가 적당 / 임업 효과지수가 1.2 이상일 때 개설 - 지선임도(임업 적 기능. 접근기능) : 조림, 육림, 수확 및 보호관이 등 임업경영의 목적으로 시설되는 임도. * 설계속도 30~20km/h가 적당 / 임업 효과지수가 0.9 이상일 때 개설.. 2024. 3. 23. [사방공학12] 사방공학에서 사방공학의 재료 중 콘크리트, 사방공사의 식생 재료, 해안사방공법, 폐광지 복구 사방공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▶ 콘크리트 - 양생 : 콘크리트에 충분한 습도와 적당한 온도를 주어 유해한 응력을 가하지 않는 것 또는 수화작용이 충분히 계속되도록 보전하는 것 ※ 목적 : 응결, 경화 촉진,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 방지, 하중·진동·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※ 효과 : 7일 정도면 나타나고, 콘크리트 온도를 20°C 정도로 28일 정도면 충분히 강도를 지닌다 가끔 물을 뿌려 습윤양생을 한다. 일정 범위(4~40도)에서는 양생 온도가 높을수록 강도가 커짐. ※ 습윤양생 : 조기 건조 방지를 위해 젖은 모래 등으로 콘크리트 노출면에 물을 뿌려 음습한 상태를 유지한다 - 보통시멘트(포틀랜드시멘트)는 7일.. 2024. 3. 23. 이전 1 2 3 4 5 6 7 다음